📒 육각노트

[육각노트] 서비스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무엇을 담고 있어야 할까?

알 수 없는 사용자 2024. 9. 5. 20:22

주제

서비스 기획자의 포트폴리오에는 무엇이 있어야 할까?

여는 말

포트폴리오는 나와 나의 행보를 소개하는 문서라고 생각한다. 아직 행보라고 할 만한 커다란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작성법부터 조사하는 것이 조금 이르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포트폴리오에 넣어야 할 것, 그리고 주의 사항들을 파악하고 있어야 추후 진행할 프로젝트에서도 신경 쓸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함께 조사해 볼 두 번째 주제로 ‘포트폴리오’를 선택하게 되었다.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을 고민하다 이 글을 보게되었다면, 여섯의 생각 뿐만 아니라 첨부된 아티클도 필독하기를 추천한다.


일각(一刻)이 선정한 글

 

어느 기획자의 포트폴리오 (1)

서비스기획 포트폴리오 쓰기 - (1) 자료 준비 | 시작해봐요, 포트폴리오 직장인들의 커뮤니티 블라인드나 주위 친구들이나 이직을 준비하는 모든 이들이 가장 앞다투어 말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brunch.co.kr

 

 

어느 기획자의 포트폴리오 (2)

서비스기획 포트폴리오 쓰기 - (2) 본격적으로 내용 구성하기 | 지난번 문서에서는 내가 어떤 경력을 가지고 걸어왔는지 그 방향을 정리했다면 이제 그것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써볼 차례다.

brunch.co.kr

 

일각(一刻)의 생각

이력서, 자소서, 경력기술서 등 여러 지원 서류 중에서 가장 막막하게 느껴지고, 만드는데 오래 걸리는 서류가 바로 포트폴리오가 아닐까…

포트폴리오라는 것이 정해진 정답이 없어 나만의 방식대로 충분히 나를 드러내고 어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은 맞지만, 잘못하면 “그래서 도대체 이 사람은 뭐하는 사람인거야?🤔” 전혀 모르는 그냥 애매모호한 사람이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아티클의 **“어떤 기획자로 포지셔닝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 인상 깊었다.

면접관들이 수많은 지원자의 포트폴리오를 보고 그 안에서 적합한 지원자를 뽑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백번 맞는 말인데 왜 몰랐을까…

보통 포트폴리오를 처음 만들 때 이 경험도 넣고, 저 경험도 넣고 정말 아무생각 없이 “이 많은 것들 중 하나는 어필되겠지” 하는 실수를 하는데 이러면 절대로 안된다는 것이다.

나만이 지닌 강점, 기획자로서의 비전방향성,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드러낼 것인지 많은 고민이 필요할 듯하다.


이각(異珏)이 선정한 글

 

25번 면접 본 기획자의 이직 A to Z ② 포트폴리오와 면접 | 요즘IT

포트폴리오는 정해진 양식 자체가 없어 자유도가 높습니다. 누구는 PPT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하고, 누구는 노션으로 만든 포트폴리오가 최고라 말합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레퍼런

yozm.wishket.com

 

이각(異珏)의 생각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정해진 형식이야 없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쓴 포트폴리오가 존재하기에 그런 포트폴리오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했는데, 작성 기법을 정리해둔 아티클이라 포트폴리오를 처음 만드는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특히 정량적인 성과를 나타내는게 좋다는 부분에서 많은 공감이 되었다. 열심히 노력한 것에 대한 결과의 실체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이 수치화 된 지표로 볼 수 있는 성과이기 때문에 “A작업 기능 개선 진행” 보다는 “A작업 기능 개선 진행을 통한 DAU 12% 증가”와 같이 작성하는 편이 훨씬 좋듯이 말이다.

한가지 의문이 드는 부분은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부분을 어떻게 작성해야할지 잘 감이 안온다는 점이다.


삼각(森各)이 선정한 글

 

신입 서비스 기획 포트폴리오 만드는 방법 | zero-base

신입 서비스 기획 포트폴리오 만드는 법 (서비스 기획 포트폴리오 PDF, 템플릿)

zero-base.co.kr

 

삼각(森各)의 생각

그 어떤 서류보다도 포트폴리오가 어렵게 느껴진다. 그 이유를 생각해 보면, ‘내 포트폴리오의 완성본이 이 정도는 했으면 좋겠다’ 하는 막연한 기대함이 오히려 부담이 되는 것 같다. 지금 나에게 중요한 것은 우선 생각을 글로 적고, 그 안에서 방향을 잡고, 차차 채워나가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나는 아직 서비스 기획 과제를 제대로 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가 지금까지 했던 프로젝트가 기획과 어떤 연관이 있을지를 정리해 보고, 직무 상세나 우대사항에 맞는 것들은 최대한 살려보려고 한다.


사각(私閣)이 선정한 글

 

이런 포트폴리오는 떨어집니다

포트폴리오 만들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 |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며 많은 이들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모두 하는 일은 달랐으나, 같은 부분을 지적했다. 그리고 놀랍게도 받았던 지적의 상당수는

brunch.co.kr

 

사각(私閣)의 생각

  1. 표지/자기소개 디테일하게 하기 (디자인 스킬 나열하기)
  2. 리서치 내용 다 넣기 (약한 문제정의 - 긴 리서치 - 평범한 결과물의 늪)

이 두 부분이 정도를 지키는 게 어려운 것 같다.

합격 포트폴리오라고 뿌리는 것들 보면 자기소개를 간략하게 하던데, 이 부분은 이력서나 자소서에 넣으면 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역시 공장형처럼 찍어내는 공개 포폴은 경쟁력이 없나보다.

어디서는 과정을 자세히 쓰라고 하는데, 여기서는 리서치 내용을 간단하게 쓰라고 한다. 리서치 내용을 자세히 적지 않으면 뭔가 앞뒤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 들던데… 잡코디님이나 다른 강사님께도 똑같은 질문을 드려봐야겠다.

어떻게 보면 다 당연한 것들인데 막상 쓰려고 하면 잘 지켜지지 않는 것 같다. 모든 걸 다 보여주고 싶은 욕심 때문에😭


오각(悟覺)이 선정한 글

 

How can you present your service design portfolio to land your dream job?

Learn how to present your service design portfolio to impress your potential employers and showcase your skills, experience, and impact.

www.linkedin.com

 

오각(悟覺)의 생각

포트폴리오는 별다른 포맷이랄게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전혀 감이 없어서 막막했다. 예시를 봐도 잘 모르겠고… 근데 이 아티클을 읽으면서 포트폴리오는 단순하게 말하자면 나를 표현하는 문서이고 복잡하게 말하자면 회사 마음에 들도록하는 광고 같은 것이구나 싶었다. 이거 일종의 사람 파는 마케팅이구나… 싶은 마음이 들고. 전에 했던 걸 기반으로 다듬어서 (아마 새로 만들어야 할 것이 더 많을 것 같지만) 포트폴리오 작성을 시작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육각(育珏)이 선정한 글

 

포트폴리오 작성에 대한 커피챗 | Notion

포트폴리오 작성에 대한 커피챗을 할 자리가 있어서 그때 나눈 이야기를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eunhocha.notion.site

 

육각(育珏)의 생각

이전까지 해온 내 포트폴리오의 문제점은 나를 셀링하지 못하고, 그냥 이런 서비스를 만들었어요. 우리 서비스는요~~ 와 같이 내가 아닌 서비스에 대해 소개했다가 더 맞을 것 같다. 서비스가 주인공이 아닌 내가 주인공이 되어 왜 이런 서비스를 만들었는지, 어떤 고민들을 했고, 어떤 깨달음을 얻었는지와 같이 포트폴리오를 통해 나를 알 수 있고, 나에대해 더 궁금해지는 그런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겠다.


 

닫는 말

해당 주제를 조사하면 포트폴리오가 무엇인지, 어떤 구성을 가져야 하는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읽어온 아티클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그보다 더 깊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포트폴리오도 일종의 기획이자 마케팅이라는 점이다.


내가 어떤 기획자인지, 어떤 기획자가 되고 싶은지 포트폴리오를 통해 소개하는 것은 스토리라인을 구성하는 기획이고, 그 소개가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가독성을 높이고 핵심을 보여주는 것이 마케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서비스 기획이라는 직무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에 더해 포트폴리오를 추가로 제출해야 하는 만큼 더 어렵게 생각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번 대화를 하며 포트폴리오는 자유로운 형식으로 나를 더 어필할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 쉽지 않은 일이라는 생각이 들고, 여러 번 작성하고 다듬는 과정을 거쳐야겠지만 좋은 방향성을 얻어 꾸준히 정진하기만 하면 될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육각이 추가로 소개한 아티클 시리즈를 남기려 한다. 이력서 작성을 돕기 위해 작성된 글이지만 포트폴리오 마케팅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훌륭한 도움말로 느껴졌다.

 

15초의 승부 : 이력서 작성의 세계 — 1

화성에서 온 구직자, 금성에서 온 면접관

medium.com

 

15초의 승부 : 이력서 검토의 세계 — 2

지난글에서 인생은 장편 다큐멘터리이며, 이력서는 광고 영상이라고 했다. 그래서 임팩트에 집중해야한다. 이번 글에서는 그 외 4가지 원칙에 관해서 이야기해보겠다.

mediu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