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각레터] 2024年 09月 14日
오각[悟覺]의 편집자주
컴퓨팅 방식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던 애플 비전 프로의 2024년 3·4분기 판매량이 출시 초기의 1/4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높은 가격과 한정적인 활용도가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애플 비전 프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비전 프로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비전 프로의 차별점을 부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비전 프로가 출시되기 이전, 기기의 스펙을 기반으로 비전 프로가 집중할 서비스는 전문가용 3D화면일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하지만 출시 이후 애플 공식 홈페이지의 비전 프로 설명은 "일상생활에 더욱 몰입할 수 있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주력 서비스 역시 줌, MS 오피스, 지그 스페이스 등 협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비전 프로를 위해 3,500달러를 소비할 만큼 특별하고 매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평이 줄지어 나오는 이유입니다.
제품의 높은 스펙과 실제 전달되는 서비스가 잘 어우러지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과 스펙이 높은 점을 고려했을 때 전문가용 기기로서 안전 필수 시스템(Safety Critical System - 시스템의 장애나 실수가 사람에게 치명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의 숙련도 향상에 활용되는 등, 높은 사양이 충분히 활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지금 애플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처럼 일상생활에 더 자주 마주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다면 더 저렴하고 낮은 사양의 기기로 일반 대중들에게 설득력을 얻어야 합니다.
애플은 과거, 자신들이 단순한 하드웨어 회사가 아님을 밝힌 바 있습니다. 2019년 3월에 있었던 봄 이벤트에서, 애플의 CEO 팀 쿡은 "서비스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로 이벤트의 장을 열었습니다. 이어 애플은 고객이 제품을 최대로 활용하여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이야기로 말을 이어 나갔습니다.
애플을 통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지 삶의 가장 행복한 순간을 포착할 수 있고, 어떤 기기에서든지 그 순간을 돌아볼 수 있으며 누구든지 기억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애플의 사진 기능 하나에 불과하지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의 통합을 통해 사용자의 삶과 경험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애플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 방식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팀 쿡은 이후 미디어와 콘텐츠 전달의 변화에 관해 이야기하며 애플에서 콘텐츠와 플랫폼, 그리고 이를 전달하는 사람들의 중요성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애플에는 고객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고객을 즐겁게 해주고, 영감을 주고, 정보를 전달하고 삶을 풍성하게 만드는 것이 애플에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비록 5년이 지났으나 애플의 기조는 여전히 사용자를 편안하고 즐겁고 행복하게 만들고 싶어 하는 것입니다. 애플 비전 프로의 높은 가격과 그로 인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난조가 아쉬움을 남기지만 애플은 다음 세대의 공간 컴퓨팅 디바이스를 만들며 다시 사용자들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려 노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팀 쿡이 말했듯, 사용자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애플의 큰 장점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서비스라는 통합된 가치를 제공하는 애플은 디지털 콘텐츠와 물리적인 세계를 잇고자 애플 비전 프로를 출시하였습니다. 비전 프로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그리고 이 유무형의 제품을 고객들에게 자연스럽게 전달하며 애플의 vision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IT
출시한 지 얼마나 됐다고...애플 비전프로, 美 판매량 75% 급락
애플의 혼합현실 헤드셋 비전 프로의 3·4분기 미국 내 판매량이 예상보다 저조해 2∼3만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비전 프로의 높은 가격과 적은 애플리케이션 수가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시장조사업체 인터내셔널 데이터 센터는 저렴한 버전의 MR 헤드셋 출시로 시장의 관심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출시한 지 얼마나 됐다고...애플 비전프로, 美 판매량 75% 급락
애플의 혼합협실(MR) 헤드셋 비전 프로의 3·4분기 미국 내 판매량이 출시 초기 4분의 1 수준인 2∼3만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전 프로가 예상보다 크게 저조한 판매 성과를 기록하면서 가상
n.news.naver.com
#IT
MS·오픈AI “딥페이크 막기 위해 나체 이미지 제거”…한국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 등 미국의 주요 인공지능 기업들이 딥페이크 성범죄를 막기 위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에서 나체 이미지를 제거하기로 했습니다. 이 서약은 미국 백악관의 중재로 이루어졌으며, 아동 성 학대와 동의 없는 성인 딥페이크 이미지를 방지하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입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네이버 등 국내 빅테크 기업들이 딥페이크 문제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진보네트워크센터는 국내 AI 기업들이 성 착취 위험을 방지할 책임을 다하도록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MS·오픈AI “딥페이크 막기 위해 나체 이미지 제거”…한국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에이아이(AI) 등 미국의 인공지능 기업들이 성적인 딥페이크(불법합성물) 이미지의 확산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에서 나체 이미지를 없애기로 했다. 광범위
n.news.naver.com
#IT
SKT 에이닷 사용자 500만 돌파…쫒는 LGU+·바라보는 KT
SK텔레콤의 AI 비서 서비스 '에이닷'이 출시 1년 만에 사용자 500만 명을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통화 편의성에 특화된 AI B2C 서비스 '익시오'를 10월에 출시할 예정이며, 이 서비스는 통화 녹음과 요약, 스팸 필터링 기능을 포함할 것으로 보입니다. KT는 아직 구체적인 AI 서비스 출시 계획을 밝히지 않았지만,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동향을 고려할 때 관련 서비스 출시를 검토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SKT 에이닷 사용자 500만 돌파…쫒는 LGU+·바라보는 KT
SK텔레콤(017670)의 인공지능(AI) 비서 서비스 '에이닷'이 정식 출시 1년 만에 사용자 500만 명을 확보하는 등 큰 인기를 끌면서, 경쟁사인 LG유플러스(032640)와 KT(030200)의 행보에도 관심
n.news.naver.com
#글로벌 #경제
인도인 세계로 떠난다...최대 여행객으로 떠올라[★★글로벌]
인도 중산층의 증가로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인도의 해외여행 시장은 890억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주요 여행지는 중동, 동남아, 북미, 서유럽이며, 항공사들은 인도 출발 항공편을 증편 중입니다. 인도 국내 여행 시장도 세계 3위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도인 세계로 떠난다...최대 여행객으로 떠올라[★★글로벌]
소득 증가에 해외여행 급증 팬데믹 이전 중국이 했던 역할 이제 인도인 여행객들이 대신 인도가 세계 최대 해외여행국가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중국이 ‘중산층 반열’에 오르면서 중국발 해
n.news.naver.com
#IT
에어팟 프로2 '보청기 기능' 美 FDA 승인
애플의 에어팟 프로2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으로부터 보청기 기능에 대한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 기능은 경증에서 중증도의 청력 손실이 있는 사용자들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처방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제공됩니다. 사용자들은 iOS 18을 탑재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 청력 테스트를 통해 소리를 개인 맞춤형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이 기능을 올가을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출시할 계획입니다.
에어팟 프로2 '보청기 기능' 美 FDA 승인
애플이 지난 9일 공개한 에어팟 프로2의 보청기 기능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의 승인을 받았다. 12일(현지시간) FDA는 애플 에어팟 프로2 이어폰에서 처방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보청기 소프트웨
n.news.naver.com
#환경 #경제
음식물 쓰레기를 에너지로…주목 받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바이오 리파이너리 기술은 유기성 폐기물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친환경 기술로, 2세대 바이오매스 활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를 도입했으며, 독일, 덴마크 등도 바이오가스 에너지화를 추진 중입니다. 세계 바이오매스 시장은 지속 성장할 전망입니다.
[이지 사이언스] 음식물 쓰레기를 에너지로…주목 받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화석연료 사용 감축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요소다. 화석연료는 에너지 등 자원 생산에 활용되지만 기후변화...
ww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