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각[悟覺]의 편집자주
챗 지피티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가 전 세계를 들썩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LLM 구축에는 많은 자원이 필요하고 해외의 LLM을 사용하기에는 보안 등의 문제로 실적용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국내 AI 솔루션 기업 솔트룩스가 기업 특화 생성 AI 하드웨어 루시아 온을 발표하였습니다. 해당 솔루션을 활용하여, 기업들은 하드웨어 하나로 보안의 걱정 없이 자체 LLM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솔트룩스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150억 건 이상의 대규모 데이터를 자산으로 가지고 있으며 정부 과제나 타 기업과의 협업으로 능력을 검증해왔습니다.
솔트룩스가 발표한 루시아 온은 지난 9월 SAC 2023에서 처음 출시 예고되어 많은 관심을 모아 왔습니다. 개발자, AI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금융, 법률 등 각 분야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루시아 온은 생성 AI의 문제 중 하나인 할루시네이션을 최소화했습니다. AI 할루시네이션은 존재하지 않는 사실을 창작해서 제공하는 외재적 환상과,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내재적 환상으로 나뉩니다. 외재적 환상의 예로는, 챗지피티에게 ‘세종대왕 맥북 던짐 사건’에 대해 설명해 달라고 했을 때 그 존재하지 않는 사건에 대해 성심성의껏 적은 답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있습니다. 내재적 환상의 예시로는 실제 수치가 4.6% 임에도 AI의 답변은 5.6%라고 나오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루시아 온은 이러한 할루시네이션 문제를 검색증강생성과 데이터 백터화 임베딩 기능을 통해 최소화합니다.
[IT강의실] 생성형 AI의 최대 난제, '할루시네이션'
지난 3월 17일에서 21일 사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세너제이에서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회의 ‘GTC 2024’가 열렸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는 기자간담회에서 5년 내에…
www.donga.com
솔트룩스는 비용과 전문가 부족, 보안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루시아 온을 활용하여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루시아 온은 고객 서비스 자동화, 문서 요약 및 분석, 언어 번역, 콘텐츠 생성, 개인화 추천 시스템 구축 등 활용이 가능합니다.
솔트룩스, 기업용 LLM '루시아GPT' 9월 공개 - AI타임스
인공지능(AI) 전문 솔트룩스(대표 이경일)가 대형언어모델(LLM) ‘루시아GPT’를 9월 공개한다. 보안과 환각 방지에 초점을 맞춘 \'기업용 LLM\'으로 알려졌으며, 매개변수 등 세부 사양은 아직 공개
www.aitimes.com
솔트룩스, ‘루시아 온’ 출시...“하드웨어 하나로 생성 AI 도입 혁신” - AI타임스
솔트룩스가 생성 인공지능(AI) 하드웨어 ‘루시아 온(LUXIA-on)’을 공개했다.솔트룩스(대표 이경일)는 누구나 맞춤형 \'챗GPT\'를 만들 수 있는 하드웨어 루시아 온을 정식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www.aitimes.com
솔트룩스의 구버 엔터프라이즈는 위에서 소개한 루시아 온을 활용한 인공지능 검색엔진입니다. 구버 엔터프라이즈는 사용자에게 빠르게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자동으로 보고서를 생성해 주는 등, 업무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솔트룩스의 이경일 대표는 구버 엔터프라이즈를 활용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네이버의 LLM인 클로바를 활용하여 독거노인의 안부를 묻는 케어콜, 집 안에서 자율주행을 하며 사용자의 전반적인 정보생활을 돕는 AI 컴패니언 등 Voice User Interface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속속 출시되고 있습니다. VUI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LLM입니다.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서비스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것에 비해 자체적인 LLM을 구축하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솔트룩스의 루시아 온, 구버 엔터프라이즈의 활약을 기대하게 됩니다.
독거노인 챙기는 클로바 케어콜, 지자체 절반 이상 도입 - 머니투데이
NAVER(네이버)는 AI(인공지능) 안부 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CLOVA CareCall)'이 전국 시군구 중 절반 이상에 도입되며, 독거 어르신 및 중장년 1인 가구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고 5일 밝혔다. 2021년
news.mt.co.kr
[IFA2024]삼성·LG 'AI 동반자 로봇' 선보여
삼성전자와 LG전자가 ‘AI 컴패니언(동반자) 로봇’을 독일 IFA 2024에서 나란히 선보였다. AI 로봇이 일정을 확인하고 여행지를 검색해주거나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등 사실상 집 안에서 스마트폰
www.etnews.com
#IT #AI
솔트룩스, 기업용 검색 솔루션 '구버 엔터프라이즈' 출시
솔트룩스가 기업용 AI 검색 솔루션 '구버 엔터프라이즈'를 출시했습니다. 구버 엔터프라이즈는 생성형 AI와 그래프 검색 기술을 적용해 빠른 정보 탐색 및 자동 보고서 생성을 지원합니다. 솔트룩스는 공공기관 등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솔루션 기업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AI 기술을 통해 다양한 문제 해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솔트룩스, 기업용 검색 솔루션 '구버 엔터프라이즈' 출시 - AI타임스
인공지능(AI) 전문 솔트룩스(대표 이경일)는 기업용 AI 검색 솔루션 \'구버 엔터프라이즈\'를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판 퍼플렉시티’를 지향하는 구버는 생성 AI 검색 플랫폼으로, 솔트룩
www.aitimes.com
#IT #경제
“한글 서비스는 역시 한국 기업이”…구글 누른 네이버 ‘번역·지도’
네이버는 번역 및 지도 서비스에서 구글을 제치고 사용자 수에서 3배 차이를 보이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번역 앱 파파고는 845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를 기록했고, 네이버 지도 앱도 국내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한국어 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글 서비스는 역시 한국 기업이”…구글 누른 네이버 ‘번역·지도’
“한글 서비스는 한국 기업이 더 잘한다.” 네이버가 챗GPT 등장 후 이어진 인공지능(AI) 개발 경쟁 과정에서 줄곧 대외에 강조해 왔던 메시지다. 한국 사회의 맥락·제도를 이해하는 AI를 구축해
n.news.naver.com
#IT #경제
'빅블러' 시대…플랫폼 업계 "산업 특성 반영한 다양한 지표 필요”
플랫폼 업계에서는 산업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블러' 현상이 심화되면서, 기존의 한정된 지표만으로 서비스 경쟁력과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동영상 플랫폼, 배달앱 등이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며 다변화된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특히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서 시장의 복잡성을 충분히 고려한 종합적인 지표 개발이 요구됩니다.
'빅블러' 시대…플랫폼 업계 "산업 특성 반영한 다양한 지표 필요"
최근 시장 조사 기관들이 서비스 경쟁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를 자체 조사해 분석하는 리포트를 발간하고 있는 가운데, 플랫폼 업계에서는 다변화되고 복잡해진 인터넷 산업 환경을 반영할
n.news.naver.com
#사회
"반려동물 압류하면 돈 빨리 갚는다?…여전히 민법에서 동물은 물건"
법원이 채무자의 반려동물 압류를 동물보호법 위반 소지로 기각했습니다. 현행 민법은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지만, 압류 시 동물의 방치가 문제 될 수 있어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채권자들이 반려동물 압류를 채무 압박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민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반려동물 압류하면 돈 빨리 갚는다?…여전히 민법에서 동물은 물건" [디케의 눈물 283]
채무자의 반려동물 압류 집행에 대해 "동물보호법 위반 소지가 있다"며 기각하는 법원 결정이 나왔다. 법조계에선 민법상 동물은 물건으로 취급돼 압류 대상에 포함되지만 실제 압류할 경우 동
n.news.naver.com
#글로벌 #IT #사회
꼬리 내린 텔레그램?···CEO “범죄 악용 기능 삭제”
텔레그램 CEO 파벨 두로프는 플랫폼 악용을 막기 위해 '주변 사람' 기능을 삭제하고, 합법적인 업체만 보여주는 '주변 기업' 기능을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익명 블로그 서비스 텔레그래프의 미디어 업로드 기능도 악용 문제로 비활성화했습니다. 두로프는 전체 이용자의 99.999%가 범죄와 무관하지만, 소수의 불법 행위가 텔레그램의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텔레그램은 앞으로 사용자 신고에 따라 채팅 내용을 조정할 수 있게 할 계획입니다. 두로프는 프랑스 경찰에 체포되었으나 보석금으로 석방되었습니다.
꼬리 내린 텔레그램?···CEO “범죄 악용 기능 삭제”
텔레그램 내 불법행위를 방조한 혐의로 형사처벌 위기에 몰린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최고경영자(CEO)가 플랫폼 악용을 막겠다며 몇 가지 개선책을 내놨다. 두로프는 6일(현지시간) 엑스(옛 트위
n.news.naver.com
#IT #AI #사회
취준생 84% “챗GPT 자소서, 나보다 우수하거나 비슷”
상위권 채용 플랫폼 캐치 조사에 따르면, 취준생 60%가 챗GPT를 활용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응답자의 49%는 챗GPT의 자기소개서 작성 실력이 자신보다 우수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챗GPT 활용 이유로는 작성 시간 단축이 가장 많았으며, 주로 기업 분석이나 초안 작성에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반면, 챗GPT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표절 위험성과 진정성 부족이 꼽혔습니다. 캐치 측은 이러한 추세가 자기소개서 전형의 변별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취준생 84% "챗GPT 자소서, 나보다 우수하거나 비슷"
취준생 60%가 챗GPT를 활용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챗GPT의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자기소개서’ 전형의 변별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캐치가 취준생 1379
n.news.naver.com
'🗞️ 육각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각레터] 2024年 09月 10日 (6) | 2024.09.10 |
---|---|
[육각레터] 2024年 09月 09日 (7) | 2024.09.09 |
[육각레터] 2024年 09月 06日 (10) | 2024.09.06 |
[육각레터] 2024年 09月 05日 (11) | 2024.09.05 |
[육각레터] 2024年 09月 04日 (5)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