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력육각수(自力六各秀)란?

여섯 명의 서비스 기획자가 각자의 힘을 모아 끊임없이 성장하고 성과를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 육각작당소 8

[따릉이] 변화를 위한 실천 - 운영팀에 개선 요청을 하다

프로젝트를 마친 후, 우리는 실제로 따릉이 운영팀에 개선 사항을 제출하는 실천을 이어갔다. 우리의 목적은 단순한 문제 발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었다.    제출한 개선안이 실제로 따릉이 서비스에 반영되어 외국인 사용자들이 겪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비록 제출한 개선 사항이 실제로 서비스에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 도전에 직접 나섰다는 점이다.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작은 실천을 통해 변화를 시도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생각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개선안이 실제로 서비스에 반영되어, 그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블로그에 다룰 수 있는 기회가 오길 기대하며, 우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도전을 이어갈 것..

서비스 기획 X 피그마: 자력육각수의 화면 개선 여정

여는말최근 많은 IT 회사가 서비스 기획자에게 피그마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서비스 기획자가 디자인 툴인 피그마를 직접 다루면, 디자이너, 개발자와의 원활한 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기획 의도를 더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번 화면 개선 프로젝트는 단순히 디자인 툴을 연습하는 기회를 넘어, 각각의 기획 의도를 깊이 있게 고민하고 이를 실제 화면에 반영하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일각(一刻)의 프로젝트 프로젝트 제목인스타그램 피드 내 검색기능 추가 인스타그램 피드 내 검색 기능을 추가한 이유인스타그램을 사용하면서 특정 게시물을 찾을 때 어려움이 많았다. 찾으려는 게시물이 있는 계정은 찾았는데 게시물을 찾으려고 스크롤을 계속 내려야 해서 매우 불편했다. 피드 내 검색 기능이 ..

[따릉이]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

우리는 "작은 실천이 세상을 바꾼다"는 믿음으로 따릉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따릉이’ 공유자전거 서비스는 외국인들에게 너무나 불편한 장벽처럼 느껴졌고, 우리는 그 장벽을 허물고자 했다. 외국인들도 쉽게 자전거를 타고 서울을 누비며 자유롭게 도시를 즐길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기능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 외에도 UI 개선과 프로토타입 제작을 함께 고려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우리는 UI 개선이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와는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레거시 시스템 문제 해결이 본래 우리가 집중해야 할 핵심 과제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UI 개선과 프로토타입 제작 대신 우리가 발견한 시스템 오류와 개선점을 정리하여 운영팀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기로 결정했다. 이..

[따릉이] 다국어 지원 개선의 상세기획안

다국어 지원 개선 우리는 제일 먼저 따릉이의 ‘회원/비회원 페이지’를 구별하고 ‘사용자 예상을 벗어나는 페이지 흐름’을 개선하는 작업을 기획했다. 해당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hexwater.tistory.com/40 [따릉이] 레거시 지우기에 대한 상세기획안 작성지금까지의 프로젝트 진행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벌써 3주가 지났다. 그동안 우리 자력육각수 팀은 탄탄한 기획안을 완성하기 위해 많은 고민과 논의의 과정을 거쳤다. 이제부터는 구체적인 개hexwater.tistory.com 레거시 플로우를 제거한 후 외국어 지원을 개선하는 기획안을 작성했다. 현재 따릉이는 3개 국어(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지원 중이다. 그러나 외국인 전용으로 따릉이를 진입해도, 토스트 메시지나 알럿..

[따릉이] 레거시 지우기에 대한 상세기획안 작성

지금까지의 프로젝트 진행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벌써 3주가 지났다. 그동안 우리 자력육각수 팀은 탄탄한 기획안을 완성하기 위해 많은 고민과 논의의 과정을 거쳤다. 이제부터는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담은 상세기획안을 전달해 보려고 한다.우리는 두 가지 주요 문제에 중점을 두고 업무를 진행하였다. 플로우차트 작성 과정에서 심각성을 깨달은 것들로, ‘회원/비회원 페이지 구별’과 ‘사용자 예상을 벗어나는 페이지 흐름’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통합하여 개선안을 작성하였고, 이를 “레거시 지우기” 단계로 정의하였다. 기획안의 세부 내용은 다음 단락에서 확인할 수 있다.상세기획안 작성작업 범위비회원 접속 초기 화면을 리스트형에서 지도형으로 변경지도 화면에서 비회원에게 해당하지 않는 아이콘 버튼 삭제[지도..

[따릉이] 상위기획안을 통한 세부적인 개선안 도출

지금까지의 프로젝트 진행자력육각수 팀원들과 함께 따릉이 서비스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따릉이는 외국인 이용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서비스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고 불편하다는 후기가 많다. 외국인 관광객이 점차 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외국인 이용자들이 앱을 사용하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해보였다. 지난 시간에는 페이지 개선에 앞서 이용권 결제 및 자전거 대여의 전반적인 플로우를 파악하며 문제점을 파악해보았다. 플로우를 정리하면서 다양한 개선점들이 도출되었고, 수많은 개선점들 가운데 사용자의 가장 큰 불편을 초래하는 페이지 플로우 개선을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상위기획안 작성이번 시간에는 페이지 플로우 개선 관련하여 상위기획안을 작성해보았다. 상위기획안을 작성하기 전 육각수 팀..

[따릉이] 개선사항 선정을 위한 플로우차트 작성

외국인 페이지 개선을 선택한 이유서울시가 2023년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사용자 수가 2019년 26,970건에서 2022년 59,056건(추정)으로 코로나 이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외국어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만큼 외국인 사용자 편의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외 관광객 인기 `따릉이`, 외국어 챗봇 번역으로 더 편리하게 이용하세요서울시가 11월 3일부터 서울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좀 더 편리하게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챗봇(대화로봇)을 통하여 영어로 상담을 지원하고, 다산콜센터와 따릉이 상담센터 간 직news.seoul.go.kr하지만 따릉이 앱에 익숙한 한국인들조차 따릉이의 외국인 대상 페이지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다고 느끼고 있다. 따릉이 외국인 이..

[따릉이] 우리가 따릉이를 선택한 이유, 따릉이 선택 프롤로그

자력육각수 스터디 팀원들이 모여, 평소 생활 속에서 불편하게 느꼈던 서비스를 개선해보자는 아이디어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누구나 일상에서 한 번쯤 불편하다고 느꼈던 서비스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런 작은 불편함이 모이면 큰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팀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할 방법을 모색해보기로 했다. 여러 아이디어가 오갔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받은 서비스는 바로 서울시의 공공 자전거 서비스인 "따릉이"였다.  이 서비스가 선정된 데에는 이각의 경험이 큰 영향을 미쳤다. 자력육각수 스터디 멤버 중 한 명인 이각은 외국인 지인으로부터 전해들은 따릉이 이용 경험에 관한 기억을 떠올렸다. 그 지인은 따릉이를 처음 이용할 때 외국인 탭을 선택했음에도 한국어가 노출되는 문제로 인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