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력육각수(自力六各秀)란?

여섯 명의 서비스 기획자가 각자의 힘을 모아 끊임없이 성장하고 성과를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 육각레터

[육각레터] 2024年 08月 20日

사각[私閣] 2024. 8. 20. 21:10

 

사각(私閣)의 편집자주

 

 

네이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유저의 원활한 시청 경험을 위해 중간광고 스킵 기능을 도입했다는 기사를 접했습니다. 광고는 스트리밍 플랫폼의 수익과 직결되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저의 경험을 위해 광고 스킵 기능을 추가한 것은 파격적인 결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예비 사회적 기업을 창업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 당시 만드는 사람이 아닌 '고객 입장'에서 모든 것을 생각하라는 조언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 조언을 명심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BM은 고려하지 못했던 기억이 납니다. 결국 기업은 수익 창출이 목적인 조직인데 그 부분을 놓쳤던 것입니다.

 

서비스 기획자라면 VoC도 반영하면서 기업의 입장도 고려해야 합니다. 치지직의 새로운 기능 도입은 당장의 수익보다는 나중을 위해 유저를 끌어들이기 위함으로 보입니다. 이 기사를 통해 기획자는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과 기업의 상황을 잘 파악하고, 어떤 의사결정이 기업에 도움이 될 지 잘 선택할 수 있어야 함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IT

네이버 치지직 '중간광고 스킵' 도입…스트리머 수익배분 바뀌나

네이버의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CHZZK)이 중간 광고 도입 2개월 만에 스킵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스킵 기능은 스트리머와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수익 배분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 치트키 가격은 유지되며, 네이버는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정책을 계속 보완할 계획입니다. 일부 이용자들은 치트키 가격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바가 있습니다.

 

네이버 치지직 '중간광고 스킵' 도입…스트리머 수익배분 바뀌나

네이버(035420)의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CHZZK)이 중간 광고 도입 2개월여 만에 '중간광고 스킵' 기능을 도입했다. 치지직은 19일 오후 공지를 통해 중간 광고도 5초 또는 15초 후 스킵할 수 있도록

n.news.naver.com

 

 


#IT #AI

"이 사람 스펙 좋지만 곧 나가"…요즘 AI 면접관, 별걸 다 안다 [채용시장 바꾸는 AI]

최근 AI를 활용한 면접 방식을 채택한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AI 면접은 지원자의 성향과 적성을 분석해 회사에 맞는 인재를 찾으며, 이직률 감소 효과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기업과 공공기관도 AI 면접을 채택하고 있으며, 스펙보다 회사와의 적합성을 중시하는 채용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사람 스펙 좋지만 곧 나가"…요즘 AI 면접관, 별걸 다 안다 [채용시장 바꾸는 AI] | 중앙일보

‘컬처 핏’ 맞춰 채용…LG·한화 등 140곳 적용

www.joongang.co.kr

 

 

 

 

#IT #사회

‘스마트팜’부터 ‘곤충 사육’까지…‘식량위기’ 대응하는 스마트업

기후변화와 식량위기 상황에서 농업 스타트업들이 스마트팜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솔루션을 선보이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드림팜, 컬티랩스, 아이오크롭스, 긴트 등은 AI, IoT 등을 적용해 효율적인 농업 생산 및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드림팜의 스마트팜 큐브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끌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스마트팜’부터 ‘곤충 사육’까지…‘식량위기’ 대응하는 스마트업 - 시사저널e

[시사저널e=이창원 기자]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이른바 ‘식량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타트업 기업들이 이에 대한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www.sisajournal-e.com

 

 

 

 

#커머스 #생활경제 #산업

[단독] 롯데백화점이 들여온 바샤커피, 정말 100년된 브랜드일까?

바샤커피는 정말 100년이 넘은 커피 브랜드일까요? 바샤커피는 2019년에 설립된 신생 브랜드로, "1910"이라는 숫자는 114년의 역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모로코 마라케시 궁전의 커피룸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브랜드는 TWG의 사례처럼 역사적 연도를 마케팅에 활용했으며, 이는 일부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인하대 이은희 교수는 "소비자들이 브랜드의 역사를 오인할 수 있다"며 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단독] 바샤커피, 정말 100년된 브랜드일까

 

www.bloter.net

 

 

 

#생활

최민식 "나라도 안 가, 가격 좀 내려요"…영화 1만5000원 쓴소리

국민배우 최민식이 최근 영화관람료가 1만5000원으로 비싸다며 “극장비 좀 내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방송에서 OTT 서비스와 비교하며 영화관을 찾지 않는 이유는 높은 가격 때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최민식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극장들의 상황을 이해하지만, 관람료 인상이 부담스러움을 느낀다고 지적했습니다.

박명수도 영화 관람료에 대해 비판하며, 영화의 질이 낮아 선택할 영화가 적다는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극장들은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관람료를 여러 차례 인상했고, 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가격 담합 의혹을 제기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습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79%가 현재 영화 관람료가 비싸다고 느끼고 있어, 영화 산업의 위기 상황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최민식 "나라도 안 가, 가격 좀 내려요"…영화 1만5000원 쓴소리

주말 1만5000원에 달하는 영화관람료를 둘러싼 논란에 ‘국민배우’ 최민식이 가세했다. 영화 관람비가 비싸 관람객이 찾지 않는 것 아니냐며 “극장비 좀 내려라”고 쓴소리를 한 것이다. 물론

n.news.naver.com

 

 

 

#IT #AI

텔레픽스, 자체 개발 위성 AI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 탑재 위성 발사

텔레픽스는 자체 개발한 위성 탑재 인공지능(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를 스페이스X 위성에 탑재해 우주로 발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프로세서는 위성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기존 방식보다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텔레픽스는 세계 최초로 우주 궤도상 AI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텔레픽스, 자체 개발 위성 AI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 탑재 위성 발사

16일(현지시간) 팰컨9에 실려 발사되는 테트라플렉스. 텔레픽스 제공인공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가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위성 탑재 인공지능(AI) 프로세서를 실제 위성에 탑재해 우

www.dongascien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