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一刻]의 편집자주
비밀번호를 설정할 때 조건 때문에 꽤나 오래 걸렸던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입니다.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포함해야 하고 자릿수 제한도 있으며, 각 사이트마다 다른 규정을 갖고 있어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렇게 어렵게 비밀번호를 설정했는데 정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라는 권유로 인해 추가적인 번거로움이 생깁니다.
이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복잡한 비밀번호 규칙이나 정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요구가 오히려 보안을 해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비밀번호 설정 규칙을 개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주기적으로 계속 비밀번호를 변경하게 되면 잊어버리기 쉬우니 비교적 예측하기 쉬운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개정안에는 사용자에게 특수문자를 포함하거나 정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도록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는 금지 조항이 포함됩니다. 비밀번호 설정기준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대신 2단계 인증과 같은 추가 인증 수단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에는 소셜 로그인, QR 로그인, 생체인증 등 비밀번호 없이도 간편하게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서비스에서 비밀번호를 활용한 로그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비밀번호 지옥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란 쉽지 않아보입니다. 서비스 기획자로서 어떤 로그인 방식이 우리 서비스에 적합한지, 간편하지만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봐야겠습니다.
#IT
비밀번호, 특수문자·의무변경 요구 줄어들까…美 표준서 금지예고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비밀번호 지침을 개정하며, 사용자에게 특수문자 혼용이나 정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을 요구하지 않도록 금지할 예정입니다. 이는 복잡한 규칙이 오히려 보안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NIST는 비밀번호를 8자 이상으로 설정하고 모든 유니코드 문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비밀번호 탈취 의심 시 변경을 요구하는 조항을 유지합니다. 이번 변화는 비밀번호 설정 기준을 완화하고 추가 인증 수단을 법제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비밀번호, 특수문자·의무변경 요구 줄어들까…美 표준서 금지예고
세계 각국이 참조하는 미국의 비밀번호(패스워드) 지침에 '사용자에게 특수문자 등을 혼용하도록 강요하거나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도록 요구하지 말라'는 금지조항이 담길 전망이다. 3
n.news.naver.com
#IT
길거리서 마주쳤을 뿐인데 신상 '탈탈'…무서운 '이 안경' 이름이
하버드대 학생들이 개발한 '아이 엑스레이'(I-XRAY) 기술이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메타의 스마트 안경을 사용해 사람 얼굴을 촬영하고, 얼굴 검색 엔진과 공개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이름, 주소, 직업 등 개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극대화하며, 초상권 보호의 중요성이 다시금 강조되고 있습니다.
길거리서 마주쳤을 뿐인데 신상 '탈탈'…무서운 '이 안경' 이름이
소형 카메라가 달린 안경으로 이른바 몰카(몰래카메라) 촬영을 넘어 개인 정보까지 알 수 있다면 초상권 침해 이상으로 피해가 커질 수 있다. 상용 기술과 제품을 조합하면 이런 일이 실제 가능
n.news.naver.com
#IT
[지금은 과학] 1인 가구 급증 시대…정신건강 관리 AI 나왔다
최근 고령화와 출산율 감소로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은 멀티모달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자의 집안 활동을 인식해 적절한 시점에 정신건강 관련 질문을 유도하는 기술을 발표했습니다. 연구 결과, 기존 무작위 설문 방식보다 응답률이 높았으며, 사용자는 음성보다는 터치 입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정신질환 조기 발견을 위한 AI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금은 과학] 1인 가구 급증 시대…정신건강 관리 AI 나왔다
최근 빠른 고령화, 출산율 감소 등으로 1인 가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스마트 스피커의 단순한
n.news.naver.com
#IT #사회
"섬에도 이틀 만에 배송"…LGU+, 스마트폰 드론 배송 서비스 시작
LG유플러스는 통신사 최초로 드론을 이용한 스마트폰 배송 서비스를 10월 2일부터 제주도의 가파도, 비양도, 마라도에서 시작했습니다. 고객이 온라인몰에서 스마트폰을 구매하면, 드론을 통해 섬 지역의 배달점으로 배송됩니다. 드론 배송을 통해 기존 7일 걸리던 배송 기간이 2~3일로 단축되었습니다. 이번 서비스는 국토교통부와 제주도가 운영하는 'K-드론배송'을 기반으로 제공되며, 앞으로 다른 섬 지역과 공원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섬에도 이틀 만에 배송"…LGU+, 스마트폰 드론 배송 서비스 시작
통신 매장이 없는 섬 지역 거주 고객들도 LG유플러스(032640) 신규 스마트폰을 이틀만에 배송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LG유플러스는 통신사 최초로 드론을 활용해 섬 지역에 스마트폰을 배송하
n.news.naver.com
#과학
104세 김형석 교수 "60살 넘으면 정신건강이 장수의 뿌리…기억력 떨어져도 사고력이 중요"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2024년 한국헬시에이징학회 심포지엄에서 60세 이후에는 신체 건강보다 정신 건강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50대에 기억력이 다소 감퇴하더라도 사고력은 발전할 수 있으며, 일할 수 있는 한 계속해서 활동하는 것이 장수의 비결이라고 조언했습니다. 김 교수는 스스로 늙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한 정신적인 성장은 계속된다고 말하며, 100세를 넘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장수를 위한 정신적 성장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104세 김형석 교수 "60살 넘으면 정신건강이 장수의 뿌리…기억력 떨어져도 사고력이 중요"
"60세가 넘으면 신체건강보다 정신건강이 더 중요하다. 정서적인 자기 성장이 건강의 가장 소중한 뿌리기 때문이다."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한국헬시에
n.news.naver.com
#산업
내년 말부터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도 '단위가격 표시제' 시행
내년 11월부터 연간 거래액 10조 원 이상의 대형 온라인쇼핑몰에서도 단위가격 표시제가 의무화될 예정입니다.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단위가격 표시 품목이 84개에서 114개로 확대되며, 즉석식품 및 반려동물 용품 등이 추가됩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정확한 가격 정보를 제공해 합리적 소비를 돕기 위한 조치입니다. 1년의 유예기간이 부여될 예정입니다.
내년 말부터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도 '단위가격 표시제' 시행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이르면 내년 11월부터 대형 온라인쇼핑몰에서도 단위가격 표시제가 의무적으로 시행된다.
www.yna.co.kr
'🗞️ 육각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각레터] 2024年 10月 07日 (15) | 2024.10.07 |
---|---|
[육각레터] 2024年 10月 05日 (4) | 2024.10.05 |
[육각레터] 2024年 10月 03日 (3) | 2024.10.03 |
[육각레터] 2024年 10月 02日 (7) | 2024.10.02 |
[육각레터] 2024年 10月 01日 (9) | 2024.10.01 |